-
A Korean History for international readers
The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s,Tarix, -
-
-
-
-
-
-
-
-
-
-
-
-
-
-
-
-
-
-
-
A Korean History for international readers
The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s,This book is a historical text that covers Korean history from its foundation to the modern era. It especially deals with pre-modern societies of Korea in detail. Despite its long history, life in its society and its culture are rarely spoken of outsides the peninsula. Rather than arranging the historical events chronologically, this book focuses more on the details of the historical events by questioning how the diverse experiences that Koreans had affected their life and culture and what influences that culture had on constructing Korean history. This is the reason why we publish this book, although there are already numerous books that introduced Korean history. Readers could realize what Koreans have endured and how it lead to their position in the world today. It also mentions their moral values and what they believe is right or wrong.
-
삼국지 - Three Kingdoms
배수진 - Bae Sujin,중국의 역사서에 대한 내용은 삼국지(정사) 문서를, 이 문서를 바탕으로 한 동명의 소설에 대한 내용은 삼국지연의 문서를, 코에이 테크모에서 유통하는 게임에 대한 내용은 삼국지 시리즈 문서를, 이 문서의 실제 배경이 되는 시대에 대한 내용은 삼국시대(중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이야기 한국사 - story korean history
이현희 - Lee Hyunhee,단군 역사에서 현대까지 5천 년의 민족 대장정 『이야기 한국사』는 우리 역사의 기원부터 대한민국이 성장하기까지를 이야기식으로 풀어놓았다. 기존의 역사서와는 달리 사건과 인물을 중심으로 역사처럼 재미있고,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게 엮은 것이 특징이다. 한국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곧 우리 미래의 자양분으로 연결될 것이다.
-
이순신 - Admiral Yi
장수철 - Jang Soocheol,Yi Sun-sin (Korean: 이순신; Korean pronunciation: [i.sʰun.ɕin]; April 28, 1545 – December 16, 1598) was a Korean admiral and military general famed for his victories against the Japanese navy during the Imjin war in the Joseon period. The exact number of naval engagements conducted by Admiral Yi against the Japanese is a subject of historical debate. However, he is widely believed to have seen combat in at least 23 victorious naval engagements during the war. In most of these battles, he was outnumbered and lacked the necessary supplies. His most famous victory occurred at the Battle of Myeongnyang, where, despite being outnumbered by 333 Japanese ships (133 warships, at least 200 logistical support ships) to a single fleet of 13, he managed to disable or destroy 31 Japanese warships without losing a single ship of his own. Yi died from a gunshot wound at the Battle of Noryang, the last major battle of the Imjin War, on December 16, 1598.
-
미래로 여는 역사 - History that opens to the future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한중일 3국이 공동으로 기획하고 집필하여 동시에 출판하는 최초의 동아시아 공동 역사 교재의 전면 개정판.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에 반대하는 각국의 학자, 교사, 시민활동가 등이 4년 동안 머리를 맞대고 단어와 문장을 꼼꼼히 검토해 만든 이 책은 19세기 중엽 이후 침략과 전쟁으로 얼룩졌던 과거의 역사를 깊이 반성하고 평화와 인권, 민주주의가 보장되는 동아시아의 미래를 지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An Easy guide to Korean History
신형식 - Sin Hyeongsik,우리 나라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는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나라이다. 우리민족은 70만전의 구석기시대로부터 신석기새대와 청동기시대를 거치면서 한반도와 만주 일대억 일찍부터 국가 이루면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대한민국은 왜? Why Korea?
김동춘 - Kim Dongchun,되찾고 싶던 나라는 어쩌다 떠나고 싶은 나라가 되었을까? 역사 국정교과서가 부활하려 한다. 젊은이들은 이 나라를 ‘헬조선’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렇게 부르기가 ‘지옥hell’에게 미안하다는 말도 한다. 일제의 식민지배 36년 동안 그토록 되찾고 싶었던 나라가 어쩌다 이토록 떠나고 싶은 나라로 변한 것일까?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 지난 70년간 이 땅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한국 학술연구 분야 제3세대의 선두주자로 손꼽히는 성공회대학교 사회학과 김동춘 교수는 그동안 연구자?사회운동가?정부 관리라는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하면서 대한민국 현대사라는 기억의 창고를 차곡차곡 채워왔다. 그런 그가 마침내 대중들을 향해 창고의 문을 활짝 열었다. 『대한민국은 왜?』에서 지은이는 한국 현대사의 굴곡진 노정을 거슬러 오르며 ‘국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구체적으로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답한다.
-
그림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역사 - Food in pictures, history in food
주영하 - Joo Youngha,지은이는 현재 민속학과 음식사 연구를 주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전근대와 근대의 "사유와 생활"이 혼재되어 있는 19세기와 20세기라는 시간 축에 관심이 많다. 이 시기에 한국인의 생활방식이 어떻게 변용(transformation) 되어 왔는가를 규명하는 작업은오늘날 한국사회의 각종 사회문화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밑거름이 된다고 믿는다. 이를 위해서 그 동안 「고추의 상징화 과정에 대한 일고(一考)」(『역사민속학』11, 2000), 「식구론(食口論):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음식 관습」(『정신문화연구』25, 2002), 「출산의례의 변용(變用)과 근대적 변환(變換): 1940-1990」(『한국문화연구』7, 2003), 「식탁 위의 근대 : 1883년 조일통상조약 기념연회도를 통해서」(『사회와 역사』66, 2004) 등과 같은 논문을 발표했다. 이외 기왕에 출판한 저서로는 『김치, 한국인의 먹거리-김치의 문화인류학』(공간, 1994년), 『한국의 시장-사라져가는 우리의 오일장을 찾아서』(공저, 민속원, 초판 1995, 재출간 2003), 『음식전쟁 문화전쟁』(사계절, 2000), 『중국, 중국인, 중국음식』(책세상, 2000) 등이 있다.
-
조선 임금 잔혹사 - Joseon king's cruel history
조민리 - Jo Minri,기존의 <조선왕조실록>의 나열이 아닌,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의 시선을 가진 역사서이다. 왕으로 태어난 사람과 왕으로 만들어진 사람, 왕자로 태어났지만 왕이 되지 못한 사람. 그들의 불안하고도 우아한 공존을 통해 진짜 조선의 역사를 들여다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조선의 왕과 왕의 자리'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선의 임금들이 얼마나 힘겹게 왕의 자리에 오르고, 이루어내고, 지켜냈는지를 말하고자 한다.
-
장보고 - Jang Bogo
구 석 봉 - Gue Seok-Bong, 임종국 - Lim Jongguk,통일신라의 군인이자 호족. 어린 시절 당나라로 넘어가 그곳에서 벼슬을 했다가 고향인 신라로 돌아와 군인이 되었으며 훗날 청해진 대사가 되어 당시 한중일 사이의 바다를 장악하며 엄청난 부와 권력을 손에 넣었던 인물이다. 한국사에 기록된 최초의 호족. 장보고가 활동하던 당시 그의 힘과 위세는 실로 막강하였다. 출신도 알려져 있지 않을 정도로 미천했고 지방 호족에 불과했지만 중국, 일본, 통일신라 중앙의 왕실에까지 그 영향력이 미칠 정도였으며 희대의 영웅이라 부를 만한 행보를 보였다. 해상왕(海上王)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당시 신라인들이 아니라 현대 한국인들이붙인 이름이지만 한때 동아시아 해상에서 장보고가 지녔던 영향력을 생각하면 과장이 아니라 할 수 있다.
-
한국의 역사 - Korean history
김육훈,한국의 역사 또는 한국사(韓國史, 영어: History of Korea)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까지 동아시아의 한반도, 만주, 연해주 지역을 바탕으로 전개된 한국의 역사이다. 이 문서는 광복 이전의 한국에 대한 역사를 주로 기술한다. 한국사의 시대 구분은 구석기 시대에서부터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구분되는 선사시대와 고조선의 성립 이후 원삼국 시대, 삼국 시대, 남북국 시대, 후삼국 시대까지의 고대, 고려 시대인 중세, 조선 시대인 근세, 대한제국 수립 이후 오늘날까지의 근·현대 등으로 구분된다.
-
신사임당-Shin Saimdang
김문수 - Moon Soo Kim, 김낙준 - Kim Nakjun,우리가 알고 있는 사임당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신사임당』. 신사임당은 우리에게 현모양처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대학자 율곡 이이를 낳고 기른 어머니, 남편 이원수를 바른 길로 내조한 현명한 아내, 첩첩산중 너머 강릉에 있는 어머니를 늘 그리워한 효녀. 무엇보다 신사임당은 그림과 서예에 능했던 뛰어난 예술가였다.
-
방정환-Jeonghwan Bang
박홍근 - Park Honggeun,방정환은 일제강점기 어린이의 날을 제정하고, 아동잡지 『어린이』를 창간한 아동문학가이다. 1899년에 태어나 1931년에 사망했다. 3·1운동시 독립선언문을 배포하다 일경에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 1920년 일본 도요대학 철학과에 입학하여 아동예술과 아동심리학을 연구했고, 1921년 천도교소년회를 조직하여 본격적으로 소년운동을 전개했다. 1922년 5월 1일 처음으로 ‘어린이의 날’을 제정하고, 1923년에는 최초의 아동잡지 『어린이』를 창간했다. 유교도덕에 얽매여 있던 어린이들을 어린이다운 감성으로 해방시키고자 노력한 인물이다.
-
김대건 - Daegun Kim
박홍근 - Park Honggeun,김대건(金大建, 1821년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은 한국인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순교자, 여행가로, 세례명은 안드레아이다. 2021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로 선정되었다. 어린 시절 이름은 재복(再福)이고, 족보명은 지식(芝植)이다.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 (기념일)은 7월 5일이다. 그의 세례명 안드레아는 아버지 김제준의 동생이자 순교자인, 김대건의 작은 아버지 김한현의 세례명을 이어받았다
-
난센-Nansen
윤용성- Yoon Yongseong,프리티오프 베델얄스베르그 난센(노르웨이어: Fridtjof Wedel-Jarlsberg Nansen [ˈfrɪ̂tːjɔf ˈnɑ̀nsn̩], 문화어: 프리툐프 난센, 1861년 10월 10일 스토레 프뢰엔 ~ 1930년 5월 13일 뤼사케르)은 노르웨이의 탐험·외교관이다. 국제 연맹의 고등판무관으로서의 활동으로 1922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으며,자신이 설계·건조한 탐험선 프람 호를 타고 얼음 사이로 북극해 횡단을 시도하였다. 크리스티아니아(Kristiania; 지금의 오슬로) 근교의 스토레 프뢰엔(Store Frøen)에서 태어났다. 오슬로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베르겐의 자연 박물관에 근무하였다. 노르웨이의 국민적 영웅이라 일컬어지는 그는 오슬로 근교의 뤼사케르(Lysaker)에서 삶을 마쳤다. 유엔 난민 고등판무관사무소에서는 그를 기리기 위해 난센 난민상을 제정했다.
-
갈릴레이-Galileo
강 먼 - Gang Meon,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년 2월 15일 ~ 1642년 1월 8일)는 이탈리아의 철학자, 과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다. 그는 바티칸 시국 토스카나 지방의 피사에서 태어났으며 7남매 중 장남이었다. 아버지 빈센초 갈릴레이는 유명한 류트 연주가로, 음악 이론에 관해 중요한 연구를 일부 남겼다. 과학 혁명의 주도자로 요하네스 케플러와 동시대 인물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반박했고 교황청을 비롯한 종교계와 대립했다. 업적으로는 망원경을 개량하여 관찰한 것, 운동 법칙을 확립한 것 등이 있으며,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을 옹호하여 태양계의 중심이 지구가 아니라 태양임을 믿었다.(그 당시에는 지구가 중심이라는 것이 진리였다.)
-
나이팅게일- nightingale
이영재- Lee Youngjae,플로렌스 나이팅게일(영어: Florence Nightingale, 1820년 5월 12일~1910년 8월 13일)은 영국의 간호사, 작가, 통계학자이다. 잉글랜드 성공회의 성인이기도 하며, 성공회에서는 8월 13일을 나이팅게일의 축일로 지키고 있다. 그녀는 크림 전쟁 동안 간호사와 매니저로 일함으로써 간호학을 발전시켰다.
-
쑨원- Sun Yat-sen
김낙준 - Kim Nakjun, 장 문 평-Jang Moon-pyeong,청나라의 정치사상가이자 중화민국의 초대 임시 대총통으로, 중화민국의 국부(國父)다. 진나라의 시황제 이래 2,000년 이상 이어져 오던 중화제국과 전제군주제를 무너뜨린 혁명가로서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양쪽에서 모두 존경받고 있는 인물이다. 한국에서는 당시 중국 지도층 중에서는 처음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한 인연으로 인해 1968년 대한민국장을 수여하여 독립유공자로 인정하고 있다.
-
에디슨- Edison
오영민, Oh Youngmin,미국의 발명가이자 기업인. 제너럴 일렉트릭의전신인 '에디슨 제너럴 일렉트릭'의 설립자다. 그리고 자수성가로 가장 성공한 근성가[5] 중 한 명이다. 별명인 발명왕으로 유명하다. 본인은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함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대중음악, 영상업영화・ 예술영화) 등 대중예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인물이기도 하다. 또한 발명 외적으로, 자신의 사업체를 끌어들여 도시에 전기 인프라를 확립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하여, 현대 전기문명시대의 신호탄을 쏜 사람이기도 하다. 오히려 발명보다 훨씬 더 크게 평가받아야 할 업적이다.
-
김구-Kim Gu
김문수, 김락준, Kim Moonsu, Kim Rakjun,김구(金九, 1876년 8월 29일 (음력 7월 11일)~1949년 6월 26일)는 일제 강점기 독립 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독립 운동가, 정치인으로 자는 연하(蓮下), 호는 백범(白凡)이다. 항일 의열단체 한인애국단을 이끌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역임하였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양반가의 후손[1]으로 태어나 과거에 응시했으나 낙방, 이후 동학농민혁명에 참가했고, 한때 불교 승려로 활동했다. 자(字)는 연하(蓮下), 처음 이름은 창암(昌巖)이고, 호(號)는 백범(白凡), 연상(蓮上)이다. 호는 미천한 백성을 상징하는 백정의 ‘백(白)’과 보통 사람이라는 범부의 ‘범(凡)’ 자를 따서 지었다.